AWS 인프라 개요
AWS 인프라 개요
AWS 글로벌 인프라
AWS 글로벌 인프라는 우수한 품질의 글로벌 네트워크 성능으로 유연하고, 안정적이며, 확장 가능하고 안전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도록 설계 및 구축되었습니다.

AWS 글로벌 인프라 요소
리전, 가용 영역, 상호 접속 위치(PoP)

AWS 데이터 센터
AWS 인프라의 기반은 데이터 센터입니다.
대부분의 데이터 센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.
- 실제 물리적 데이터가 있고 데이터 처리가 수행되는 위치
 - 물리적 서버(일반적으로 50,000~80,000개의 서버가 있음)
 - 온라인 연결 -
    
- 모든 데이터 센터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 -
 - ‘콜드(사용되지 않음)’로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는 없습니다.
 
 
또한 데이터 센터는 AWS의 사용자 지정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하며,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다양한 ODM(Original Design Manufacturer)의 하드웨어
 - Amazon 사용자 지정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
 
AWS 가용 영역
가용 영역
- 각 가용 영역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
    
-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됨
 - 내결함성을 갖도록 설계
 
 - 고속 프라이빗 링크를 통해 가용 영역과 상호 연결됨
 - 가용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
 - AWS는 복원성을 위해 가용 영역 간 복제 권장
 

AWS 리전
AWS 리전은 지리적 영역 입니다.
- AWS 리전은 지리적 영역
 - 각 리전은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이루어짐
 - AWS는 전 세계에 24개의 리전을 보유
 - 사용자는 리전 간 데이터 복제를 활성화 및 제어할 수 있음
 - 리전 간 통신은 AWS 백본 네트워크 연결 인프라를 사용
 

AWS 글로벌 인프라는 현재 리전과 가용 영역으로 구성

리전 선택

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서비스,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에 적합한 리전을 결정합니다.
상호 접속 위치(PoP)
AWS는 216개의 상호 접속 위치(PoP)로 구성된 글로벌 네트위크를 제공
- 205개의 엣지 로케이션과 11개의 리전별 엣지 캐시로 구성
 - 더 짧은 대기 시간으로 최종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글로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(CDN)인 Amazon CloudFront와 함께 사용
 - 액세스 빈도가 낮은 콘텐츠에는 리전별 엣지 캐시가 사용됨
 
AWS 인프라 기능

탄력성 및 확장성:
- 탄력적 인프라, 동적 용량 조정
 - 확장 가능한 인프라, 증가량 수용을 위해 조정
 
내결함성:
- 장애 발생 시에도 계속 정상 운영
 - 구성 요소의 내장된 중복성
 
고가용성:
- 가동 중단 시간의 감소로 높은 수준의 운영 성능
 
핵심 요점
- AWS 글로벌 인프라는 리전과 가용 영역으로 구성됩니다.
 - 리전을 선택할 때는 일반적으로 규정 준수 요구 사항 또는 대기 시간 감소에 기준을 둡니다.
 - 각 가용 영역은 다른 가용 영역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이중화된 전원, 네트워킹 및 연결을 사용합니다.
 - 엣지 로케이션 및 리전별 엣지 캐시(또는 상호 접속 위치(PoP))는 사용자에게 더 가까운 위치의 콘텐츠를 캐싱하여 성능을 개선합니다.
 
Knowledge Check
AWS 글로벌 인프라는 어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 및 구축되었습니까?
- 인터넷 액세스
 -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상호 접속 위치(POP)
 - 모든 리전에서 동일한 서비스 비용 구조
 - 확장성
 
가용 영역이란 무엇입니까?
- 장애 격리로 구축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.
 - 격리된 지리적 영역.
 - 함께 그룹화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 격리 없이 구축된 데이터 센터.
 - 100마일 반경 내의 모든 데이터 센터.
 
AWS 리전이란 무엇입니까?
- 단일 데이터 센터.
 - 100마일 반경 내의 데이터 센터 그룹.
 - 전 세계의 지리적 영역.
 - 미국 내의 지리적 영역.
 
AWS 리전에는 몇 개의 가용 영역이 있습니까?
- 1개 또는 2개
 - 둘 이상
 - 4개 이상
 - 최소 3개
 
Amazon CloudFront란?
- 동일한 가용 영역에 있는 최종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용 네트워크
 - 짧은 대기 시간으로 최종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글로벌 CDN(콘텐츠 전송 네트워크)
 - 단일 지리적 위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CDN(콘텐츠 전송 네트워크)
 - 제3자 공급 업체와 호환되어 최종 사용자에게 현지 언어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
 
댓글남기기